고려대학교 보건정책관리학부

QUICK MENU
  • 로그인
  • 사이트맵
  • 고려대학교
  • 도서관
  • 찾아오시는길
  • KUPID
  • English

연구실

건강증진연구실 (Health Promotion Lab)

 

오하나 교수

하나과학관 B동 354호

 

연구실 소개

본 연구실은 만성병역학(Chronic disease epidemiology)과 건강증진(Health promotion) 분야를 공부하고 있습니다. 한국인의 주요 사망원인인 암, 심뇌혈관질환, 당뇨 등 만성질환의 분포와 위험요인을 탐구하고. 역학적 연구결과가 지역사회 국민건강증진을 위해 어떻게 사용될 수 있는지 건강증진사업으로의 발전방향을 연구합니다.

 

주요 연구분야

한국인을 비롯한 다양한 인구집단 코호트 조사를 통해 만성질환 예방과 관리에 영향을 미치는 생활행태(신체운동, 비만예방, 식이/영양, 금연, 절주 등)를 연구합니다. 또한, 생체지표(biomarker) 연구를 통해 생활행태의 생물학적/생리학적 메커니즘(mechanism)을 탐구합니다. 마지막으로, 국가간 비교를 통해 한국인 특이 위험요인을 탐구하고, 이러한 특이 위험요인을 고려한 한국인 맞춤 만성질환 예측모델(prediction model)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역학연구실 (Epidemiology Lab)

 

김승섭 교수

하나과학관 B동 353호

 

연구실 소개

역학(Epidemiology)은 인구집단 수준에서 질병의 분포와 원인에 대해 탐구하고, 그에 기반하여 건강을 증진시키는 전략을 기획, 시행, 평가하는 학문입니다.

고려대학교 일반대학원 보건과학과 역학연구실은 2013년 3월에 시작되었으며, 직장 내 근로환경이 노동자들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직업역학(Occupational Epidemiology)과 사회적 환경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사회역학(Social Epidemiology) 분야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주요 연구분야

2015년 4월, 역학 연구실의 연구 분야는 크게 2가지로 나뉩니다. 첫째는 직업역학(Occupational Epidemiology) 측면에서 비정규 노동, 고용불안/해고, 직장 내 차별, 학대, 직장-가사일 충돌, 감정노동, 사회적 지지 등과 같은 노동환경이 노동자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하고 있습니다.

현재 다산콜센터 상담사, 수련병원 인턴/레지던트, 현대차 판매직 노동자, 쌍용자동차 해고노동자 등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둘째로, 사회역학(Social Epidemiology) 측면에서 진행하는 사회적 소수자 집단의 건강에 대한 연구로 현재 이민자 또는 다문화 가족 구성원들과 성적 소수자(LGBTQI)들이 겪는 차별, 청소년들이 겪는 외모차별, 학교폭력 등과 같은 사회적 경험들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하고 있습니다.

현재 김승섭 교수가 책임연구자로 진행하고 있는 국가지원연구과제는 2가지입니다.

하나는 국가인권위원회 <소방공무원 인권상황 실태조사>와 한국연구재단 2015년 신진연구자지원사업 <비정규직 고용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 그리고 프리젠티즘(presenteeism): 체계적 문헌고찰 및 역학연구>입니다.

 

보건사회정책연구실 (Health &Social Policy Lab.)

 

정혜주 교수

하나과학관 B동 365호

 

연구실 소개 (연구실 웹사이트 링크)

보건·사회정책연구실에서는 건강과 불건강을 발생시키는 다양한 요인 중 특히 정책적·제도적·정치적 요인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이를 위하여 특히 정치사회학적 접근에 기반을 둔 (복지)국가이론 및 건강의 정치경제학 관점에서 연구가 진행되며, 거시수준의 비교연구를 주요 방법론으로 사용합니다.

특히 복지국가와 노동시장의 건강에 대한 영향, 그 과정에서 젠더의 역할 등을 규명하고 있으며, 생애과정에 걸친 거시적 건강요인에 대한 노출이 중장년기 및 노년기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또한 진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동자동 쪽방지역을 대상으로 주민자치에 기반한 건강증진모델을 개발하고, 이것의 건강에 좋은 공공정책(healthy public policy)과의 연관성을 규명하기 위한 연구, 관련하여 도시빈곤층을 대상으로 한 의료 및 사회보장정책을 연구하고 있습니다.

또한 결핵 발생의 사회경제적 영향요인, 고령화와 관련된 보건의료산업 및 보건의료 R&D 정책, 유해물질의 분포와 건강영향에 대한 연구 등도 함께 진행되고 있습니다.

 

주요 연구분야

주요 연구분야는 사회발전과 건강(Health &Social Development)으로 요약될 수 있으며, 복지국가 및 사회발전에 대한 거시수준의 비교정치학 및 비교정책학적 연구와 중위수준의 지역사회에 대한 건강증진 연구, 국제개발협력을 통한 개도국 보건복지 기술이전 전략에 대한 연구로 크게 나누어볼 수 있음 [1] 복지국가와 건강

[2] 사회적기술 및 포용적 발전과 보건의료분야 국제개발협력 (ODA)

[3] 자연과학과 공학, 사회과학이 융합된 건강형평성 연구

 

보건통계연구실 (Biostatistics Research Lab Ⅰ,Ⅱ)

 

김혜영 교수

하나과학관 B동 355,356호

 

연구실 소개

고려대학교 대학원 보건과학과 보건통계연구실은 보건 분야의 연구방법론을 전문적으로 연구하고 있으며, 보건학의 다양한 분야에서 생산되는 다양한 형식과 내용의 데이터를 수량적으로 분석하기 위한 방법론을 연구합니다.

보건통계연구실은 건강의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 측면을 포괄하는 종합적인 평가 및 분석을 위하여 다양한 측정방법과 체계적 자료수집 및 적절한 자료분석기법을 적용하여 분석하고 그 결과를 이용하여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합니다.

현대의 학문의 축적은 통계적 의사결정 과정을 통한 근거에 기반하며 점점 다양하고 복잡해지는 보건영역의 자료의 특성 상 보건통계학 분야의 깊이 있는 이해에 기반하여야 합니다.

본 연구실에서는 특히 개인과 사회환경의 상호관계를 합리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다수준분석법, 잠재요인을 구조화하는 구조모형분석법, 장기패널자료 분석법 등 구체적 현실 파악에 필수적인 과학적인 방법론에 근거하여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환경적 각종 요인과의 연계성을 평가하는 다양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나라의 미래를 책임지는 청소년과 현 고령화 사회에서 관심을 기울여야 하는 노인 대상 조사연구를 활발하게 수행하여, 학생들의 구강건강문제나 노인 치매 및 구강건강문제 등에 관하여 집중적으로 연구하고 있습니다.

 

주요 연구분야

진행 중인 연구로는 첫째, 노인종합건강연구로서 노인의 신체, 정신건강 및 구강건강 패널조사와 개입연구를 준비하고 있는데 이는 노인의 구강건강과 삶의 질을 주요어로 하여, 구강 건강, 신체적 건강 및 정신적 건강을 포괄하여 파악할 수 있는 근거자료의 필요성이 절실한 이유로 계획, 추진하고 있다.

둘째 사회조사데이터를 활용한 연구로서 2015년 1학기에는 보건복지패널 데이터를 활용한 연구계획을 개인별로 수립하여 다음과 같은 주제로 연구하고 있다.

유지영 : 아동기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노년기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최은실 : 구강건강과 전신질환의 관련성 연구, 구강건강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고 있습니다)

김보은 : 기혼 남성의 성역할 인식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정다운 : 고용지위와 고용안정성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보건의료경영 연구실 (Healthcare Management Lab.)

 

최만규 교수

하나과학관 B동 366호

 

연구실 소개

보건의료경영 연구실에서는 국민이나 지역사회 주민들의 건강증진과 삶의 질 향상을 도모하기 위해 국가 및 보건의료 관련 조직에서 행해지는 보건정책과 행정 활동, 보건의료관리시스템의 최적 관리 방안을 모색하고 있습니다.

구체적으로 보건의료조직관리, 보건의료인적자원관리, 보건의료회계 및 재무관리, 의료서비스마케팅, 보건의료서비스 질 관리 등을 중심으로 연구하고 있습니다.

 

주요 연구분야

보건의료경영 연구실에서는 보건의료조직관리, 보건의료인적자원관리, 보건의료회계 및 재무관리, 의료서비스마케팅, 보건의료서비스 질 관리 등을 중심으로 연구하고 있습니다.

 

환경역학 연구실 (Research Lab. of Environmental Epidemiology)

 

이종태 교수

하나과학관 B동 373호

 

연구실 소개

본 연구실은 고려대학교 보건정책관리학부 이종태교수님의 지도하에 “환경역학” 및 “보건통계학” 분야를 공부하고 관련 환경보건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국가 환경보건 증진 목표 아래 본 연구실에서 지금까지 진행한 연구사업은 환경보건지표, 식품보건지표의 개발, 대기오염과 기후변화 분야 건강영향 평가 및 미래 건강영향 예측, 환경성 질병부담 추정 등이 있습니다.

대학원 진학을 희망하는 학생 및 이 분야를 공부하고자 하는 학생의 많은 방문바랍니다.

 

주요 연구분야

기후변화와 알레르기질환 건강영향 평가 및 미래 예측 - 기후변화가 천식 및 알레르기질환 발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인과성을 확인하고 이에 대한 미래 건강부담을 추정한다.

대기오염 역학연구 - 미세먼지 등의 대기오염 노출과 사망 등의 건강영향의 관련성을 시계열분석, 생존분석 등의 다양한 연구방법론을 활용하여 평가한다.

대기오염 노출평가 - 연구대상자들의 개별적인 대기오염 노출값 추정을 보다 타당하게하기 위해 최신의 노출평가방법인 Land-use regression을 활용하여 대기 중 NO2 및 미세먼지의 농도를 예측하는 모형을 개발한다.

대기오염 및 기후변화 역학방법론 연구 - 대기오염 및 기후변화가 가지는 상대위해도의 시공간 변동성 확인 및 이를 고려한 건강영평가방법을 연구한다.

아프리카 기후변화사업 - 아프리카에서 기후변화로 인한 감염병 질환에 취약한 집단을 파악하고, 수질 및 대기오염 측정과 함께 환경영향평가에 대한 교육을 진행한다.

 

디지털 치과 산업 연구실 (Digital Dental Industry Lab)

 

김지환 교수

하나과학관 B동 375호

 

연구실 소개

디지털 치과 산업 연구실에서는 미래의 인재 양성을 위하여 치과 및 보건산업 분야에서 디지털 기술과 융합되어 나타나는 혁신적인 기술발전현상의 추이를 파악하고 이와 관련된 내용들을 분석합니다.

따라서 치과 및 보건산업 현장에 적용되는 개발 장비 또는 인체에 적용 할 수 있는 연구개발 신소재나 신소재 보철물에 관한 물리·화학적인 물성평가 뿐 아니라 제작과정에 관한 내용도 첨단 디지털 장비를 이용한 평가를 주로 시행합니다.

또한 치과 및 보건산업에서 이용되고 있는 신장비의 사용 환경, 보건산업정책 변화의 영향에 의한 추이 등도 면밀히 검토하며, 디지털 치과 및 보건산업 분야와 관련하여 컴퓨터를 이용한 다양한 빅 데이터 자료의 다차원적 분석 결과 등을 찾아냅니다.

이러한 결과와 분석내용들을 바탕으로 연구용 데이터를 추출하고 가시화하여, 치과산업 및 보건산업 분야에서의 국제전문학술지 또는 등재학술지 급에 게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건정책에 기여할 수 있는 유용한 정보들을 제공할 능력을 갖춘 미래지향적 박사급 인재를 양성합니다.

 

주요 연구분야

디지털 치과산업연구, 보건사회학적 연구:

1. 치과수복물 디지털평가 적합성 평가 심미성 평가 유한요소분석 나노· 이미지 분석

2. 치과산업 기자재평가 소재의 물리적, 화학적 특성평가 치과용 기기의 정확도, 안정성 평가 임상평가

3. 보건사회 역학적 평가, 관찰연구 통계분석 설문분석

 

보건경제학 연구실 (Health Economics Lab)

 

이준협 교수

하나과학관 B동 367호

 

연구실 소개

보건경제학(Health Economics)은 의료시장에서 건강보험제도가 미치는 영향이 우리사회에 중요한 부분으로 자리 잡으면서 보건의료라는 학문적 영역의 사회과학적인 접근에 대한 요구를 반영하고 있습니다.

사회적 기본재(Social primary goods)의 효율적인 배분 및 건강형평성을 추구하는 입장에서 보건경제학이라는 학문은 그 중요성이 날로 커지고 있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보건경제학은 보건의료자원의 배분을 위한 정책결정과정에서 합리적인 근거를 제공하는 학문으로 보건의료정책 의사결정 시 경제학의 분석 기법 및 모형을 접목시킨 응용경제학의 한 분야입니다. 보건경제학 연구실에서는 보건의료지출에 관한 연구 및 의료비의 증가를 억제 할 수 있는 정책적, 사회적 환경을 분석하고, 취약계층의 의료접근성의 향상을 위한 미충족 의료의 원인 분석, 빈곤층에 대한 형평성이 있는 자원을 배분하기 위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주요 연구분야

의료보장정책, 의료접근성, 건강형평성 측정 등 보건경제학과 관련된 전반적인 주제들이 연구주제가 될 수 있습니다.

현재 연구실에서 진행 중인 연구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건강불평등의 영향요인 분석 구강건강 불평등의 사회경제적 결정요인 분석 의료보장성 수준에 따른 구강건강 불평등 측정 미충족의료 경험의 유형화 및 유형별 영향요인 분석 미충족의료 경험에 따른 의료이용의 차이 측정 미충족의료 경험에 따른 삶의 질 변화 분석 의료비 부담과 정신 건강 악화 간의 연관성 분석 지역의 소득불평등 수준에 따른 지역 간 의료이용량의 차이 측정 노인 인구 집단의 건강 결정요인에 대한 분석 및 노인 건강불평등 완화 방안 탐구

 

보건정보관리 연구실 (Health Information Management Lab.)

 

이현실 교수

하나과학관 B동 360호

 

연구실 소개

Health Information Management는 양질의 보건의료서비스 제공 및 비용-효과성을 높이기 위해 자료를 기반으로 한 효율적인 의사결정을 함에 있어 중요하게 사용되는 보건의료 자료 및 정보를 관리 또는 활용하는 학문이다.

보건의료의 1차 자료인 EMR(Electronic Medical Record)의 정확한 수집 및 이해와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 될 2차 자료(data set)를 구축한다.

이렇게 모아진 big data(Data warehouse, Data market 등)를 기반으로 다양한 이슈들의 자료를 목적에 맞게 분석한 정보와 그와 관련된 지식을 토대로 효율적인 의사결정을 하는 과정과 결과를 연구한다.

 

주요 연구분야

1. PHR(Personal Health Record): 개인의 맞춤건강관리를 위한 개인 건강정보 구축 및 활용

2. Healthcare Business Intelligence: 보건의료산업 및 정책 효율화를 위한 Big data기반-의사결정

3. Health Quality Management: 기준 또는 지침서를 이용하여 보건의료서비스의 질 평가

4. Healthcare Research Method: 연구 주제에 대해 새로운 정보를 발견하거나 개정하는 조사과정

 

유비쿼터스헬스 연구실 (Ubiquitous Health Lab)

 

이태노 교수

하나과학관 B동 370호

 

연구실 소개

고령화 저출산으로 인한 만성질환자가 꾸준히 증가하면서 국가 및 개인의 의료비는 매년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동시에 생활환경의 변화로 국민들은 양질의 의료서비스를 요구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것을 해결하기 위해 정부는 u-Health 서비스를 활성하려는 노력을 2000년대 들어 시범사업 등을 통해 지속적으로 해오고 있다.

따라서 우리 연구실에서는 u-Health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IT(Information Technology) 지식을 기반으로 u-Health 서비스 모델 개발, u-Health 표준화, 활성화를 위한 정책 및 기술 개발(u-Health 장비 인증, 의료데이터의 압축 및 전송 등을 포함) 및 u-Health 관련 법, 제도 등이 연구 대상이 된다.

우리나라는 IT기반 시설이 잘 갖추어져 있는 국가로 자타가 공인하고 있고 지금까지 국가에서 시범사업을 통해 다양한 방법으로 u-Health에 대한 효율성과 안정성 등을 입증하고 있는 만큼 앞으로 거대한 산업으로 발전해 나갈 것으로 확신한다.

특히, u-Health 산업은 국내의 산업을 뛰어넘어 전세계를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기술개발과 더불어 타이밍이 매우 중요하다.

 

주요 연구분야

-Vital sign signal data compression(ECG, EEG, EMG) for seamless wirless transmission. Surveying customer demands towards health monitoring system. -Research on the influence of health information applications on health outcomes. -Efficient sensors that indicate the health status of the user.

 

치과캐드캠평가 연구실 (Dental CAD/CAM Evaluation Lab.)

 

김웅철 교수

하나과학관 B동 376호

 

연구실 소개

치과캐드캠평가 연구실은 첨단 기술과 재료를 융합하여 제작된 치과장치물(Prosthesis)을 평가하고, 이에 따른 혁식적인 기술 페러다임을 창출하고 있다. 구체적인 연구로는 치과 CAD/CAM, 치과캐드캠 가공물 품질평가, 캐드캠 가공물 기준개발 및 평가, 스캐너, 캐드, 캠 프로그램 기술개발 및 개선, 치의기공 기자재 평가 등의 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며 이를 통하여 치과보건산업관련 전 분야에서 세계 최고의 글로벌 기술 혁신을 이끌어내고 있다.

 

주요 연구분야

1. 적합성 평가 : 우리 연구실에서는 silicone replica technigue 또는 3차원 데이터로 분석하여 치과수복물의 내면 및 변연 적합도를 평가하여 세계 국제전문학술지에 논문을 게재하고 있다.

2. 심미성 평가 : 우리 연구실에서는 치과수복물의 색조를 평가하기 위한 최첨단 정밀장비인 분광측색기(Spectrophotometer)를 보유하고 있어 색조의 정밀한 평가가 가능하고 더욱이 이 기기를 활용하여 국제전문학술지에 몇 편의 논문을 게재함으로써, 측정기술에 있어서 국내 최고 수준의 전문성을 간접적으로 인정받고 있다.

3. 재료학적 평가 : 치과 수복물로 사용될 수 있는 재료의 물리적, 화학적, 생물학적 특성을 평가할 수 있다.

4. 내구성 평가 : 우리 연구실에서는 구강 안에서의 환경을 재현할 수 있는 Autoclave 장비를 보유하고 있어 치과 소재의 노화현상에 따른 생체적학성과 가속 저온 열화 현상을 실험하여 분석할 수 있다.

5. 기계적 평가 : 우리 연구실에서는 치과 재료의 2축 굴곡 및 인장 강도와 이중구조 치과수복물의 전단결합 강도 평가를 세계적인 Instron 장비를 보유함으로써 신뢰성 높은 측정을 하여 평가 할 수 있다. 또한 파절면의 형태를 주사전자현미경(SEM)을 이용하여 파절양상을 분석할 수 있다.

6. 임상적 평가 : 시편의 형태가 아닌 실제적으로 임상에서 사용하는 치과 모형을 가지고 평가를 할 수 있다.

7. 고객만족도 평가 : 우리 연구실에서는 치과 장비 및 프로그램 등의 고객만족도 평가를 설문지를 통해 Likert의 5점 척도,7점 척도 등으로 수치화 시켜 평가 할 수 있다.